성경 원문 분석

고린도전서 13장 4-7절 분석

기록강박 2024. 9. 8. 05:53

1. 원문 언어 분석 (헬라어)

고린도전서 13:4-7 (헬라어 원문):

Ἡ ἀγάπη μακροθυμεῖ, χρηστεύεται ἡ ἀγάπη, οὐ ζηλοῖ, ἡ ἀγάπη οὐ περπερεύεται, οὐ φυσιοῦται, οὐκ ἀσχημονεῖ, οὐ ζητεῖ τὰ ἑαυτῆς, οὐ παροξύνεται, οὐ λογίζεται τὸ κακόν, οὐ χαίρει ἐπὶ τῇ ἀδικίᾳ, συγχαίρει δὲ τῇ ἀληθείᾳ· πάντα στέγει, πάντα πιστεύει, πάντα ἐλπίζει, πάντα ὑπομένει.

  • ἀγάπη (agapē): "사랑"을 뜻하며, 신약 성경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로, 무조건적이고 희생적인 사랑을 의미합니다.
  • μακροθυμεῖ (makrothymei): "오래 참는다"라는 뜻으로, '마크로티메오'라는 동사에서 나왔으며 인내하는 사랑을 나타냅니다.
  • χρηστεύεται (chrēsteuetai): "친절하다"는 의미로, 사랑의 성품이 온화하고 자비롭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 οὐ ζηλοῖ (ou zēloi): "시기하지 않는다"라는 뜻입니다. 사랑은 질투하거나 남을 시기하지 않습니다.
  • οὐ περπερεύεται (ou perpereuetai): "자랑하지 않는다"로, 사랑은 자신을 자랑하거나 뽐내지 않습니다.
  • οὐ φυσιοῦται (ou physioutai): "교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랑의 겸손을 강조합니다.
  • πάντα στέγει (panta stegei): "모든 것을 참는다"는 의미로, 사랑은 상처와 어려움을 견디며 인내합니다.
  • πάντα ἐλπίζει (panta elpizei): "모든 것을 바라다"는 뜻으로, 사랑은 미래에 대한 소망을 가지고 긍정적인 태도를 취합니다.

2. 문학적 구조 분석

고린도전서 13장은 "사랑장"으로 불리며, 사랑의 특성을 묘사합니다. 4절에서 7절까지는 사랑의 다양한 속성을 나열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바울은 사랑의 긍정적 성질(오래 참음, 친절함)과 부정적 성질(시기하지 않음, 자랑하지 않음)을 대조하며 설명합니다. 사랑은 이기적이지 않고, 항상 타인을 배려하는 관계 중심적인 덕목으로 그려집니다. 각 구절은 사랑이 "무엇을 한다/하지 않는다"는 방식으로 구분되어, 사랑의 본질을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3. 평행 본문 분석

  • 에베소서 4:2:에베소서 4:2은 고린도전서 13장과 유사하게 겸손과 온유, 오래 참음을 사랑의 필수 요소로 제시합니다.
  • "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하고."
  • 골로새서 3:14:골로새서에서 사랑은 모든 덕목의 완성으로 묘사됩니다. 이는 고린도전서 13장 4-7절에서 사랑이 가장 중요한 덕목임을 강조하는 바울의 가르침과 맥을 같이합니다.
  •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더하라 이는 온전하게 매는 띠니라."

4. 신학적 분석

고린도전서 13장 4-7절은 기독교 윤리의 핵심으로, 사랑이야말로 모든 신앙과 행동의 중심이라는 가르침을 줍니다. 바울은 성도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분열을 해결하는 열쇠로 사랑을 제시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사랑은 단순한 감정이나 애정이 아니라, 의지적이고 헌신적인 행위입니다. 이러한 사랑은 예수 그리스도가 보여주신 사랑을 반영하며, 기독교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모습입니다.

신학적으로, 이 구절은 성령의 열매 중 첫 번째인 "사랑"을 설명하며(갈라디아서 5:22),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필수적인 덕목으로 자리 잡습니다. 사랑은 영원히 남는 가치이며, 다른 모든 은사나 덕목을 완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5. 역사적 및 문화적 배경

고린도전서는 고린도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울이 쓴 편지입니다. 당시 고린도 교회는 분열과 다툼, 영적 은사에 대한 오해로 갈등이 많았습니다. 바울은 이러한 문제들을 바로잡기 위해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그리스-로마 사회에서는 경쟁과 자랑이 큰 비중을 차지했기에, 사랑의 겸손과 인내를 강조한 이 가르침은 당시 문화에 대한 도전이기도 했습니다. 사랑의 본질을 설명하며, 그들이 실천해야 할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태그:

#고린도전서13장 #사랑장 #성경구절분석 #사랑의특성 #헬라어해석 #바울서신 #기독교윤리 #사랑의본질 #사랑의인내 #사랑의겸손 #성경신학 #신학적해석 #성경문학구조 #기독교사랑 #성령의열매 #사랑의실천 #고린도교회 #에베소서4장 #골로새서3장 #성경평행본문 #사랑의교훈 #성경연구 #기독교공동체 #사랑의완성 #바울의가르침 #성경적격려 #성경의미 #사랑과은사 #사랑의헌신 #기독교생활

'성경 원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마서 12장 2절 분석  (1) 2024.09.08
마태복음 5장 14-16절 분석  (2) 2024.09.08
빌립보서 4장 6-7절 분석  (0) 2024.09.08
요한복음 3장 16절 분석  (0) 2024.09.08
이사야 41장 10절 분석  (0)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