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부동산 가격 상승과 주거 불안

기록강박 2024. 9. 3. 17:41

한국의 부동산 시장은 이제 단순한 경제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반을 뒤흔드는 재앙에 가까운 상태다. 매년 치솟는 집값과 전세값은 이제 더 이상 소수만의 문제가 아니다. 청년층과 서민층은 점점 더 주거 시장에서 밀려나고 있으며, 주거 불안은 그들의 삶을 갉아먹고 있다. 정부는 매번 새로운 대책을 내놓지만, 그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끊이지 않는다. 부동산 문제, 이제 정말 해결할 의지가 있는가?

 

첫째, 우리는 이 땅에서 ‘내 집 마련’이라는 꿈이 얼마나 사치스러운 일이 되었는지 직시해야 한다. 매년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데,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정부는 시장을 안정시키겠다고 하지만, 결과는 정반대다. 정책이 오락가락하는 사이, 집값은 오히려 더 올랐다. 대출 규제, 과세 강화, 공급 확대 등 다양한 대책이 나왔지만, 시장의 불안정성은 그대로다. 이제는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진지하게 들여다봐야 한다.

 

둘째, 부동산 가격 상승이 불러온 사회적 불평등은 심각한 수준이다. 집을 가진 사람들은 부동산 가치 상승으로 부를 축적하는 반면, 집을 가지지 못한 사람들은 점점 더 주거 사다리에서 밀려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청년들이 결혼을 포기하고, 자녀를 낳는 것을 꺼리는 것은 당연하다. 부동산 문제가 단순히 경제적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착각이다. 이것은 한국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문제다.

 

셋째, 전세 대란과 월세 부담 증가로 인해 세입자들은 더 큰 고통을 겪고 있다. 전세값이 폭등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월세로 전환하거나, 더 작은 집으로 이사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이로 인해 가정의 안정성이 무너지고, 자녀들의 교육 환경도 열악해지고 있다. 세입자들의 고통은 부동산 문제의 가장 직접적인 피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대책은 여전히 미흡하다.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제 더 이상 미봉책으로는 안 된다. 정부는 근본적인 정책 변화를 꾀해야 한다. 공공임대주택을 대폭 확대하고, 서민층과 청년층을 위한 주거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투기 세력에 대한 강력한 제재와 함께, 실수요자들이 집을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부동산 시장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 불필요한 투기 수요를 억제하고, 실수요자들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부동산 가격은 투기적 심리에 의해 결정되지 않도록,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

 

부동산 문제는 단순한 경제적 과제가 아니다. 이는 한국 사회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문제다.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가 함께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계속해서 부동산이라는 괴물에 휘둘리게 될 것이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다.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지금 당장 행동에 나서야 한다.

 

#부동산가격 #주거불안 #청년주거 #한국경제 #부동산정책 #주택시장 #부동산투기 #공공임대주택 #주거안정 #청년층 #신혼부부 #전세대란 #월세부담 #사회적불평등 #자산격차 #정부정책 #주택공급 #주택가격안정 #도시재개발 #투명성강화 #주택구입 #사회적합의 #부동산투명성 #주거정책 #주거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