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31

마태복음 5장 14-16절 분석

1. 원문 언어 분석 (헬라어)마태복음 5:14-16 (헬라어 원문):Ὑμεῖς ἐστε τὸ φῶς τοῦ κόσμου. οὐ δύναται πόλις κρυβῆναι ἐπάνω ὄρους κειμένη· οὐδὲ καίουσιν λύχνον καὶ τίθενται αὐτὸν ὑπὸ τὸν μόδιον, ἀλλ’ ἐπὶ τὴν λυχνίαν, καὶ λάμπει πᾶσιν τοῖς ἐν τῇ οἰκίᾳ. οὕτως λαμψάτω τὸ φῶς ὑμῶν ἔμπροσθεν τῶν ἀνθρώπων, ὅπως ἴδωσιν ὑμῶν τὰ καλὰ ἔργα καὶ δοξάσωσιν τὸν πατέρα ὑμῶν τὸν ἐν τοῖς οὐρανοῖς.φῶς τοῦ κόσμου (phōs tou kosmou): "세상의..

빌립보서 4장 6-7절 분석

1. 원문 언어 분석 (헬라어)빌립보서 4:6-7 (헬라어 원문):Μηδὲν μεριμνᾶτε, ἀλλ’ ἐν παντὶ τῇ προσευχῇ καὶ τῇ δεήσει μετὰ εὐχαριστίας τὰ αἰτήματά ὑμῶν γνωριζέσθω πρὸς τὸν Θεόν. Καὶ ἡ εἰρήνη τοῦ Θεοῦ ἡ ὑπερέχουσα πάντα νοῦν φρουρήσει τὰς καρδίας ὑμῶν καὶ τὰ νοήματα ὑμῶν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Μηδὲν μεριμνᾶτε (Mēden merimnate):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라." ‘메리므나오’(μεριμνάω)는 "염려하다, 걱정하다"를 의미합니다. 바울은 어떤 상황에서도 염려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리고 있습니다.προσευχῇ ..

고린도전서 13장 4-7절 분석

1. 원문 언어 분석 (헬라어)고린도전서 13:4-7 (헬라어 원문):Ἡ ἀγάπη μακροθυμεῖ, χρηστεύεται ἡ ἀγάπη, οὐ ζηλοῖ, ἡ ἀγάπη οὐ περπερεύεται, οὐ φυσιοῦται, οὐκ ἀσχημονεῖ, οὐ ζητεῖ τὰ ἑαυτῆς, οὐ παροξύνεται, οὐ λογίζεται τὸ κακόν, οὐ χαίρει ἐπὶ τῇ ἀδικίᾳ, συγχαίρει δὲ τῇ ἀληθείᾳ· πάντα στέγει, πάντα πιστεύει, πάντα ἐλπίζει, πάντα ὑπομένει.ἀγάπη (agapē): "사랑"을 뜻하며, 신약 성경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로, 무조건적이고 희생적인 사랑을 의미합니다.μακροθυμεῖ (makr..

시편 23편 1절 분석

1. 원문 언어 분석 (히브리어)시편 23:1 (히브리어 원문):יְהוָה רֹעִי לֹא אֶחְסָריְהוָה (YHWH):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입니다. 이는 하나님이 자신을 계시한 가장 개인적이고 친밀한 이름으로, '자존자', '존재하는 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רֹעִי (Ro'i): "나의 목자"라는 의미로, '로에'는 "목자"를 의미하며 '나의'라는 소유격이 붙은 형태입니다. 여기서 하나님은 양을 돌보는 목자로 비유되며, 이는 그분의 인도와 보호를 상징합니다.לֹא (Lo): "아니다" 또는 "없다"는 뜻의 부정어입니다.אֶחְסָר (Echsar): "부족함이 없다"라는 의미로, '하사르'라는 동사의 미래형입니다. 이는 하나님이 모든 필요를 채워주신다는 확신을 나타냅니다.2..

교육 2024.09.08

요한복음 3장 16절 분석

1. 원문 언어 분석 (헬라어)요한복음 3:16 (헬라어 원문):Οὕτως γὰρ ἠγάπησεν ὁ Θεὸς τὸν κόσμον, ὥστε τὸν Υἱὸν τὸν μονογενῆ ἔδωκεν, ἵνα πᾶς ὁ πιστεύων εἰς αὐτὸν μὴ ἀπόληται ἀλλ’ ἔχῃ ζωὴν αἰώνιον.ἠγάπησεν (ēgapēsen): "사랑했다"는 의미로, ‘아가파오’(ἀγαπάω)의 완료형입니다. 이 단어는 희생적이고 무조건적인 사랑을 나타냅니다.κόσμον (kosmon): "세상"을 의미하며, 이 구절에서는 인류 전체를 가리킵니다. 하나님이 모든 인류를 향한 사랑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μονογενῆ (monogenē): "독생자"라는 뜻입니다. ‘모노’(μόνο)는 "하나"를 의미하고, ..

이사야 41장 10절 분석

1. 원문 언어 분석 (히브리어)이사야 41:10 (히브리어 원문):אַל־תִּירָא כִּי עִמְּךָ־אָנִי אַל־תִּשְׁתָּע כִּי־אֲנִי אֱלֹהֶיךָ אִמַּצְתִּיךָ אַף־עֲזַרְתִּיךָ אַף־תְּמַכְתִּיךָ בִּימִין צִדְקִי׃אַל־תִּירָא (al-tira): "두려워하지 말라"라는 명령형으로, ‘알’(אַל)은 금지어이며, ‘티라’(תִּירָא)는 동사 “두려워하다”의 미래형이다. 여기서 하느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직접 명령하여 두려움을 제거하라고 말씀하십니다.כִּי עִמְּךָ אָנִי (ki imməkha ani): “내가 너와 함께 있기 때문이다.” ‘키’(כִּי)는 “~때문에”라는 접속사, ‘임메카’(..

여당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괴담 선동에 대한 사과요구

어이가 없고 안타깝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우려는 과학적으로나 국민 감정적으로 충분히 제기될 만한 문제였습니다. 민주당이 이를 정치적 이슈로 활용하려 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을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국민들이 느낀 우려와 불안 자체가 일방적인 선동으로 몰려가는 건 정말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정부와 국민의힘이 이제 와서 "1년이 지났는데 피해 없으니 사과하라"는 식으로 몰아가는 건 마치 담배 피면 폐암 걸릴 확률이 높다고 경고했는데, 아직 살아있는 사람에게 "1년이 지났는데 왜 안 죽었냐, 헛소리한 거 사과해라"라고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위험성에 대한 경고와 그에 따른 예방적 조치는 당연한 거** 아닙니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가장 중요한 책무인데,..

오피니언 2024.09.06

민주당의 계엄령 준비설 선동

이게 정말 제정신인가, 민주당? 나라가 불탈 판국에 뭘 하고 있는 건가? 근거도 없는 유언비어를 퍼뜨려서 국민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이걸로 뭘 얻겠다는 건가? 계엄령 준비설이라니, 대체 뭐하는 짓입니까? 국민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나라 전체를 흔들어대면서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을 얻으려는 이 행위가 얼마나 치명적인지, 얼마나 무책임한지 정말 모르겠습니까? 이런 행태는 역사 속 수많은 비극을 떠올리게 합니다. 나치 독일에서 히틀러가 어떻게 국민을 선동했는지 잊었습니까? 거짓 정보와 괴담을 통해 사람들을 선동해 나라 전체를 파멸로 몰아넣었던 그 비극적 결과를 당신들은 정말 몰라서 이런 짓을 벌이는 건가요? 스탈린의 소련, 그 선동과 거짓 선전에 무수히 많은 목숨이 사라졌던 그 암울한 역사를 똑바로 바라보지 못..

오피니언 2024.09.06

김문수 장관의 청문회 당시 발언에 대하여

김문수 장관의 발언, 정말 이게 제정신인가요? 어떻게 대한민국 고위 공직자로서 이런 발언을 할 수 있습니까? "일제강점기 때 우리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이었다"는 발언은 듣는 순간 피가 끓어오를 정도로 분노스럽습니다. 이 발언은 대한민국의 역사를 부정하는 발언이며,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전혀 이해하지 못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우리의 선조들은 일제의 억압 속에서 강제로 일본 국적을 부여받았지만, 그들은 절대로 이를 받아들인 적이 없습니다. 3.1운동과 임시정부는 이를 분명하게 반대하며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싸운 역사적 사실입니다. 김문수 장관의 발언은 마치 당시 우리 선조들이 일제의 통치를 자발적으로 수용하고 일본 국적을 기꺼이 받아들였다는 식으로 들립니다. 그럼 독립운..

오피니언 2024.09.06

전단지 하나 뗐다고 검찰 송치? 경찰, 도대체 무슨 생각인가!

경찰, 도대체 제정신입니까? 중학생이 불법 전단지를 떼어냈다는 이유로 재물손괴죄를 적용해서 검찰로 송치했다고요? 이게 지금 말이 됩니까? 불법으로 붙여놓은 전단지를 떼어낸 게 범죄라면, 국민들이 도대체 뭘 해야 하는 겁니까? 오히려 불법 전단지를 붙인 사람을 잡아야 할 경찰이, 그 전단을 떼어낸 학생에게 범죄 혐의를 씌우는 게 이 나라 법집행의 현실입니까? 게다가 경찰서장이 사과문에서 "아쉽다"라는 표현을 썼다니요? 아쉽다는 표현이 지금 상황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나요? 국민이 잘못된 처벌을 받았을 때 경찰의 책임을 아쉽다라는 말로 얼버무리다니, 이건 무책임한 태도입니다. 아쉬운 게 아니라 잘못된 것이고, 이를 바로잡아야 할 문제입니다. 더 이상 이런 식으로 사건을 축소하려 하지 말고, 국민들에게 진심으로 ..

오피니언 2024.09.06